본문 바로가기
법률정보

음악 방송 중 저작권, 후원, 광고 표시까지 괜찮을까? 팝송 사용 시 주의할 점은?

by 법률박사 김박사 2025. 4. 20.

음악 방송 중 저작권, 후원, 광고 표시까지 괜찮을까? 팝송 사용 시 주의할 점은? 🎵

안녕하세요 여러분! 😊

유튜브, 트위치, 아프리카TV 등에서 음악을 송출하는 콘텐츠 방송을 기획하신 적 있으신가요?

특히 팝송이나 해외 음악을 틀면서 후원도 받고, 광고도 들어간다면 저작권은 괜찮을까? 하는 고민, 누구나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

"이 음악은 틀어도 되는 걸까?" "광고 켜면 무조건 위반인가요?" "국내 스트리밍은 괜찮은데 유튜브는 안 되나요?"

오늘은 음악 콘텐츠 방송 시 주의해야 할 저작권 문제부터 후원, 광고 노출 시 필요한 표시사항, 그리고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음악 플랫폼까지 완벽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

그럼 첫 번째로, 방송 중 음악을 트는 행위는 저작권상 어떤 기준으로 판단되는지부터 살펴볼게요! 🎼


방송 중 음악 송출, 어디까지 합법일까? 🎧

스트리밍 방송에서 음악을 틀면 '공연권'에 해당합니다

방송에서 배경음악으로 노래를 틀거나, 실시간 스트리밍 중 음악을 재생하는 행위는 ‘공연권’과 ‘전송권’을 침해할 수 있는 행위로 간주돼요.

즉, 단순히 내가 돈 주고 산 음원을 트는 것이 아니라, 불특정 다수에게 전송(송출)한다면 별도의 허락을 받아야 해요.

이용 허락이 필요한 대표 권리

권리 종류 내용 관할 기관
공연권 공공장소에서 음악을 재생할 권리 한국음악저작권협회(KOMCA)
전송권 인터넷을 통해 음악을 전달할 권리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SPRAK)
복제·배포권 음악을 녹음하여 배포할 권리 음악산업협회(MAIA)

그럼 어떻게 하면 합법적으로 틀 수 있을까요?

방송에서 음악을 사용하려면 이용 허락(라이선스)을 받은 음원을 써야 해요.

대표적으로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 Artlist, Epidemic Sound 등에서는 방송용 사용이 허용된 음원을 제공하니, 이들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공식 안내 확인하기

👉 한국음악저작권협회(KOMCA) 공식 안내

 

다음은 팝송이나 해외 음악을 사용하는 경우, 어떤 기준이 적용되는지 살펴볼게요! 🌍


팝송이나 해외 음악, 방송에서 틀어도 될까? 🌍

해외 음악도 저작권 적용 대상입니다!

많은 분들이 국내 음원은 조심하지만, 팝송은 괜찮지 않나? 하고 생각하시는데요.

사실 팝송, 클래식, J-POP, K-POP 등 모든 국가의 음악은 동일하게 저작권 보호 대상이에요.

특히 미국, 유럽 등은 저작권 관리가 매우 엄격하기 때문에, 방송 중 무단 사용 시 채널 경고, 수익 차단, 법적 제재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팝송 사용 시 흔히 생기는 오해

  • “스포티파이에서 듣는 건데 틀어도 되겠지?”
    → 스트리밍은 ‘개인 청취’ 용도로만 허용됩니다.
  • “CD 샀으니까 틀 수 있지 않나요?”
    → CD 구매는 개인 소유일 뿐, 방송용 라이선스는 포함되지 않아요.
  • “다른 방송도 하던데요?”
    → 무단 송출이 많지만, 그 자체가 합법이라는 뜻은 아니에요.

팝송을 방송에서 합법적으로 사용하려면?

방법 설명
라이선스 음원 사용 Artlist, Epidemic Sound 등 방송용 계약된 음원 플랫폼 활용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 유튜브 제공 무료 음원은 대부분 상업 방송 허용
정식 공연권·전송권 계약 KOMCA, SPRAK을 통한 별도 허락 필요

팝송 무단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불이익

  • 📛 유튜브 - 영상 차단, 수익 비활성화, 채널 경고
  • 📛 트위치 - 스트리밍 음소거, VOD 자동 삭제
  • 📛 민형사상 책임 - 저작권 침해 소송 가능성

👉 유튜브 - 음악 저작권 정책 공식 안내

 

다음은 방송 중 후원을 받을 경우, 음악 사용과 저작권의 관계를 알아볼게요! 💸


방송 중 후원받을 경우 저작권은 어떻게 될까? 💸

‘후원’도 수익활동으로 간주됩니다

많은 스트리머분들이 “후원은 광고가 아니니까 괜찮지 않을까?”라고 생각하시지만, 저작권법에서는 후원도 수익활동의 일종으로 판단합니다.

즉, 수익이 발생하는 방송에서 저작권자가 허가하지 않은 음악을 사용하면, 침해 소지가 커지는 것이죠.

후원 + 음악 = 사용범위 주의!

상황 저작권 침해 여부
무수익 방송 + 유료 음원 일반적으로 경고 수준
후원 송출 + 상업 음원 사용 수익활동으로 간주 → 침해 소지 높음
후원 있음 + 라이선스 음원 사용 합법 가능 (계약 조건 확인 필요)

이럴 땐 특히 조심하세요!

  • 📛 후원 알림과 함께 팝송 요청이 오는 경우
  • 📛 유료 후원 리워드로 음악 재생을 제공하는 경우
  • 📛 후원금액에 따라 곡을 지정하는 시스템 운영

이런 구조는 저작권을 수익화한 행위로 간주될 수 있으며, 라이선스 없는 음원이라면 침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안전할까요?

라이선스가 명시된 BGM 전용 음원 플랫폼을 활용하고, 후원 유도 콘텐츠에는 반드시 해당 음원 사용 조건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 Epidemic Sound - 스트리밍용 상업 라이선스

 

다음은 후원 외에도 중요한 요소, 바로 '유료 광고 표기 의무'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


유료 광고 표시는 언제, 어떻게 해야 할까? 📢

후원, 협찬, 광고는 ‘유료 광고’로 분류됩니다

방송 중 소개한 제품이 협찬을 받았거나, 광고 계약이 있는 경우라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정한 '유료 광고' 표시를 반드시 해야 해요.

‘유튜브 수익활성화 광고’뿐만 아니라 후원(슈퍼챗, 별풍선 등)이나 협찬 콘텐츠도 모두 표시 의무에 해당합니다.

표시 방법 요약 정리

유형 표시 방식
실시간 방송 (스트리밍) 화면 상단 또는 하단에 '유료 광고 포함' 문구 명시
업로드 영상 설명란 + 영상 시작/종료 시 '유료 광고 포함' 삽입
SNS 게시글 #유료광고 / #협찬 등의 해시태그 필수

표시 안 하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 ⚠️ 공정위로부터 과징금 부과
  • ⚠️ 시청자 신뢰도 하락 및 신고 위험
  • ⚠️ 광고주와의 계약 해지 가능성

정직한 표시는 법 준수는 물론, 방송 신뢰도와 브랜드 이미지 유지에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 공정거래위원회 - 추천·보증 표시 가이드라인

 

다음은 가장 궁금한 부분, 음악을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들을 소개해드릴게요! ✅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음악 플랫폼은? ✅

음악 사용, 라이선스 플랫폼에서 해결하세요!

스트리밍 방송이나 영상 콘텐츠 제작 시 가장 안전한 방법은 라이선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이에요.

이용 약관에서 “수익이 발생하는 콘텐츠 내 사용 가능”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상업용 라이선스 포함 여부도 체크해야 합니다.

주요 음원 플랫폼 비교

플랫폼 스트리밍 방송 사용 상업적 사용 허용 월 요금
Epidemic Sound 가능 (Twitch, YouTube 등) 가능 $15 (개인 기준)
Artlist 가능 가능 연 $199
YouTube Audio Library 가능 제한적 허용 (영상 제작용 중심) 무료

무료 플랫폼은 꼭 조건을 확인하세요!

무료 음원이라도 저작자 표시 필수, 수익활동 금지, 수정 금지 등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CC라이선스 종류를 확인해야 합니다.

  • CC BY – 출처 표기 후 자유이용 가능
  • CC BY-NC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방송 후원 시 사용 불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종류 알아보기

 

이제 자주 묻는 질문을 모아서 Q&A 형식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스트리밍 도중 음악이 자동으로 꺼지거나 음소거 되는 이유는?

저작권이 있는 음악을 사용할 경우, 유튜브나 트위치에서 자동 탐지 시스템에 의해 차단 또는 음소거 처리가 됩니다. 특히 팝송은 거의 실시간 탐지돼요.

Q2.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 음악은 마음껏 써도 되나요?

네.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무료 음원은 영상 및 방송에서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지만, 일부 음원은 출처 표시가 필수입니다. 사용 조건을 꼭 확인하세요.

Q3. 라이선스를 가진 음원만 사용하면 후원 방송도 문제 없나요?

그렇습니다! 단, 사용 중인 라이선스가 후원/상업적 스트리밍까지 허용하는지 명확히 확인해야 안전합니다. 특히 무료 음원은 주의가 필요해요.

Q4. 유료 광고 포함이라는 문구는 꼭 넣어야 하나요?

네. 후원, 협찬, 광고성 콘텐츠가 포함된 경우 ‘유료 광고 포함’ 문구는 법적으로 필수입니다. 표기하지 않으면 공정위 제재를 받을 수 있어요.

Q5. 아프리카TV, 트위치도 음악 저작권 적용되나요?

물론입니다. 모든 플랫폼은 동일하게 저작권법 적용 대상입니다. 트위치는 특히 VOD 자동 삭제 등 제재가 강력하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요.

 

이제 전체 내용을 정리하며 마무리해볼게요! 🚀


마무리하며 🚀

✅ 방송 중 음악을 사용할 때는 ‘단순히 틀기만 하는 행위’도 저작권 침해가 될 수 있다는 사실, 꼭 기억해 주세요.

✅ 특히 팝송, K-POP 등 해외 음악은 관리가 더 엄격하므로, 반드시 라이선스가 있는 음원만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후원이나 광고가 있는 방송이라면 상업적 이용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유료 광고 표시는 법적 의무라는 점도 잊지 마세요!

 

라이선스 확인부터 플랫폼 선택, 표시 의무까지 잘 지켜서

오랫동안 안전하고 즐거운 콘텐츠 방송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려요! 💬